마음

초원의빛

민들레a 2013. 8. 17. 19:46

 

 

 

We Love You

(OST from 'Splendor in the Grass')

 

Genghis Khan

 

 

 

I Love You...
Je T'aime...
Ti Amo...
We Love You...

가사라고는 단 4소절로서 '사랑한다'라는 말을
계속적으로 반복하는 '징기스칸'의 아름답고 사랑스런 곡..

1978년 독일에서 6인조 혼성그룹으로 결성된 징기스칸은 멋진 화음과 박력있는 보컬 경쾌한 리듬으로 70년대말에서 80년대 중반까지 많은 사랑을 받았던 디스코 댄스그룹이다.
Genghis Khan이 결성될 당시엔 모든 노래들이 무자비할 정도로 디스코를 향해 나아가는 그 당시의 상황으로 그들 노래들도 어쩌면 자연스러운 그 시대의 부산물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렇지만 징기스칸의 히트곡들은 다른 디스코송들과 달리 역사적 사건을 향하여 나아가고 있었다.
또한 특이한 점은 다른 디스코 곡들과는 달리 특정짓기 곤란한 개성적인 디스코 박자를 구사하고 있었다.

독일 음악계에서 프로듀서로 이름을 날리고 1979년에 음악상 경쟁부문에서 그랑프리를 수상한 경력이 있는 Ralph Siegel은 역사를 주제로한 테마를 사용하려고 시도했으며 그러한 모토는 다분히 젊은 이들로 구성돼 음악에 힘이 있는 Genghis Khan의 노래에 그대로 실려졌다.
원래 Genghis Khan은 Ralph Siegel의 역사를 주제로 한 테마 작업으로 구상된 타이틀 곡으로 곡을 마지막까지 최종 완성하지 않았지만 그 곡이 큰 히트를 하는 바람에 Genghis Khan은 그들 음악의 앰블렘이 되어 버렸다.
그들이 이렇게 데뷔하자마자 성공할 수 있던 비결도 음반사를 잘 만난 것도 부인할 수 없는 사실이었다.

1979년에 나온 첫 앨범의 LP는 극동지방의 문화적인 문제를 포함한 다양한 역사적 주제("China Boy", "Samurai")와 지리적, 정치적으로 문제가 되는 지역("Sahara", "Puszta"), 그리고 유머러스한 테마("Rock'n Son of Dschinghis Khan") 인류학적인 이슈("The Traitor")등 다양한 역사를 바탕으로 한 주제를 가지고 발표를 한다.
그들의 음악 메시지는 단순할 뿐만 아니라 계몽적이기도 했던 것이다.

Genghis Khan은 부유한 국가나 자신들의 국가인 독일 뿐만 아니라 전세계의 구석구석 , 시대의 가능한한 모든 시대를 그들 곡에 담아내려고 애썼다.
그래서 Gennghis Khan의 음악은 각 나라의 지명이 많이 나오는 것도 이런 이유에서이다.
징기스칸은 데뷔하자마자 수많은 앨범을 내놓으며 왕성한 활동을 하게된다.
데뷔한 해에 크게 힛트한 Genghis Khan이 포함된 앨범이 나오고 동년에 그 여세를 몰아 "Hadschi Halef Omar"를 내놓고 우리에게 잘 알려진 "Rom"(1980년), "Wir sitzen alle im selben Boot" (1981년) "Dudelmoser" "Klabautermann"(1982년), "Himalaya"(1983년)등 앨범이 계속나왔다.

나중에 멤버 중에 한명은 탈퇴하고 5인조로 활동했으며 멤버중에 한 명(Louis Hendrik Potgieter)는 1996년 AIDS로 사망했지만 나머지 멤버는 건강하게 잘 살고 있으며 아직도 해마다 팬들과 만남을 갖기도 한다고 한다.
이들은 1979년에서 1986년 약7년 동안 짧은 세월동안 활동했지만 앨범 싱글을 포함하여 40여장의 앨범을 발표했다.

 

Splendor in the Grass

요약 : 로맨스/멜로 | 미국 | 124 분
감독 : 엘리아 카잔(Elia Kazan) 
출연 : 나탈리 우드(Natalie Wood, 윌마 역),
         워렌 비티(Warren Beatty, 버드 역),
         프레드 스튜워트(Fred Stewart), 조라 람퍼트(Zohra Lampert)
         팻 힝글 (Pat Hingle)
제작 : 1961년
주연 : 워렌 비티 , 나탈리 우드

 

줄거리:
1920년대의 캔사스의 작은 마을과 고등학교가 무대로,
부잣집 아들과 가난한 여자와의 사랑 이야기이다.
잘 생긴 부잣집 청년 버드(웨렌 비티)는 여학생들에게 열광적인 얻고 있지만
그가 좋아하는 소녀는 윌마(나탈리 우드)다.
윌마의 집은 가난했지만 윌마는 아름답고 착한 모법적인 소녀였다.
한창 혈기 왕성한 버드는 윌마와 육체적 관계를 맺고
싶어하지만 윌마는 이를 거절한다.
독실한 기독교 인이고 성에 대해 무지했던 윌마에겐 버드와의 육체적 관계가
두려웠던 것이다.
이에 불만을 갖고 있던 버드는 성적 활기를 참지 못하고 다른 여학생과 어울리고,
연약한 윌마는 신경 쇠약 증세를 보여 자살을 시도하고 만다.

윌마의 부모가 딸의 상처를 감싸려고 그들의 교제를 금지하자 두 사람은 괴로워 하고
윌마의 정신 쇠약은 극에 달해 정신병원에 입원하기에 이른다.
버드의 집도 파산하게 되어 버드는 다른 지방으로 이사간다.
세월이 흘러 완전히 헤어져 각자의 삶을 살고 있는 두 사람.
버드는 윌마의 친구였던 안젤리나와 결혼하여 평범한 기술자가 되어 있고 윌마 역시
병원에서 나와 평범한 숙녀가 되었다.
우연히 재회한 두 사람은 여전히 서로 사랑하고 있음을 깨닫지만 각자의 길을
가기로 한다.
윌마는 돌오는 길에 워즈워드의 시 구절을 중얼거리며 눈물을 글썽인 채
버드의 농장을 떠난다.

각자의 행복을 빌며..
여기에서 초원의빛 싯귀가 흐르며 영화는 막을 내린다.

Splendor in the Grass
                 - William Wordsworth

What though the radiance which was once so bright
Be now for ever taken from my sight,
Though nothing can bring back the hour
Of splendor in the grass, of glory in the flower
We will grieve not, rather find
Strength in what remains behind;
In the primal sympathy
Which having been must ever be;
In the soothing thoughts that spring
Out of human suffering;
In the faith that looks through death,
In years that bring the philosophic mind.
 

 

영화는 1928년도 캔사스의 작은 동네가 배경이다
첫 화면에서의 키스신에서부터 이 영화는 애정영화임을 암시해준다

고등학교 친구인 버드와 디니는 서로가 사랑하지만
카톨릭 신자인 디니엄마의 여자로서 정조관념으로 인해
키스외의 사랑표현은 어림도 없다
디니는 그러한데
엄마는 버드와 만나는 디니가 늘 불안하다
당신이 그러했듯이
남자가 여자를 찾아 올때는 아이가 필요할때 뿐이라고

디니는 하루 24시간이 버드를 향한 전부이다
마음속도 모자라서 벽과 화장대까지 점령한 버드의 사진
잠들기 전에 모든 사진에 입맞춤 하는 디니
누구나 사랑은 이렇게 애틋하게 시작한다
그러나 사랑은 겉으로 하는 것이 아니다
속속들이 그를, 그녀를 받아 들여도 틈이 생기는 법인데
늘 경계선을 만들어 놓고 더 이상의 발도 들여놓지 못하게 하는 디니로 인해
버드는 불안하다
결국 아버지에게 디니와의 결혼을 요구하지만
주식으로 동네부자가 되어 있는 아버지에겐
하나뿐인 아들 버드가 예일대학으로의 진학만 바랄 뿐이다

 

디니와 버드는 학교에서 소문나고 인정하는 Campus couple이다
모든 여자의 선망의 대상인 버드 옆에 늘 자신이 있음이 행복한 디니
그러면서도 디니는 불안하다
너무나 사랑하지만 깊은 사랑까지 가지 못하는 자신때문에
다른 여자가 버드에게 다가가는 것까지 용납 못하는 디니

어느날 날라리 여자애가 버드에게 말을 거는 것을 보고
디니의 불안함은 최고에 다다른다

자신에게 종속되어지길 바라는 남자의 본능이라고 해야하나
아니면
영화속 버드의 심리라 해야하나
 
버드는 강제적으로 디니에게 무릎을 끓게 만들고
사랑을 맹세하도록 한다
이 행동이 디니를 숨막히도록 자존심 상하게 만든 것이고
결국에는 약혼을 파혼까지 이르게 하는 결과를 낳는다

디니에게 행하지 못하는 욕구를
버드는 다른 여자에게 풀어버린다
모든 남자들의 바람은 이렇게 시작이 되는건가.

디니에 대한 양심으로 다가가지 못하고 속으로 앓던 버드는
몸살 앓듯 사랑을 앓고 나서
결국 디니마저 잃고 만다
   
이때부터지
디니가 넋 놓고 살기 시작한 것은..

-  여기 적힌 먹빛이 희미해짐을 따라
그대 사랑하는 마음 희미해진다면
여기 적힌 먹빛이 마름해 버리는 날
나 그대를 잊을 수 있을 것입니다
 
초원의 빛이여!
꽃의 영광이여!
 
그것이 돌아오지 않음을 서러워 말아라
그 속에 간직된 오묘한 힘을 찾을지라
초원의 빛이여! 그 빛이 빛날 때
그 때 영광 찬란한 빛을 얻으소서 -

수업시간
윌리엄 워즈워드의 초원의 빛을 낭송하던 디니는
 
그것이 돌아오지 않음을 서러워 말아라
그 속에 간직된 오묘한 힘을 찾을지라..... 이 부분에서
감정이 격해져 교실을 뛰쳐나가고
정신을 놓기 시작했다

친구와 학교 버드.. 모든 것과 단절된 생활을 하고
생활의 리듬마저 깨진 디니
어느날,
친구들이 찾아와 댄스파티에 가자 하고
디니는 흔쾌히 승낙한다

그곳에서 다른 여자와 춤을 추고 있던 버드를 발견한 디니는
그를 차지하고 싶은 욕망에
버드를 불러내어 차 안에서의 섹스를 요구한다
뜻밖의 행동에 버드는 놀라
" 너의 자존심은 어디 간거냐 " 묻고
" 처음부터 자존심 같은 건 없어 " 흐느끼며 매달리는 디니
 
여자의 돌발적인 행동에는 늘 자신을 내다버리고
스스로에게 복수하는 잔인함이 들어있다
그러나 영화는 끝까지 디니를 보호해주고 디니의 자존심을 지켜준다

첫 장면에서 나왔던 폭포는
영화 중간쯤에서 또 다시 나와 그들의 격정적인 사랑을 갈라놓는 시점을 만든다
버드를 뿌리치며 폭포로 간 디니는 물속으로 뛰어들고
사람들에 의해 구조되지만

... 불쌍한 디니

말을 잃고 만다
 
병원을 찾아온 버드가 의사에게
도울 수 있는 방법을 묻는다
디니를 돕고 싶으면 옆에서 안보이는 것이라는 말에
버드 또한 좌절을 한다
 
그리고 디니는 요양원으로 보내진다

버드는 예일대로

디니는 요양원으로

버드에 대한 마음이 하나 둘 정리되어가는 디니
그곳에서 의사가 되고싶은 남자을 알게되고
새로운 사랑을 찾는다

주식의 폭락으로 버드의 집안은 흔들리고
버드의 아버지는 디니를 닮은 여자 무희를 버드의 방으로 보내고
자신은 창에서 뛰어내려 자살한다

아버지의 강압에 이끌려 삶의 방향이 바뀐 버드
자신이 가야할 길을 굳건히 가지 못한 죄로 인해
버드는 사랑하는 디니를 잃고
아버지를 잃고
방탕한 생활을 했던 누이마저 잃는다
 
사람일을 누가 장담하고 알랴
 
버드는 이탈리아 식당에서 종업원으로 있는 여자를 만난다

요양원을 나오던 날
버드를 만날 것인가 묻는 의사말에
이젠 편히 만날 수 있을 것이라 한다
사랑은,
잡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엄마에 의해 버드의 사진이 떼어지고
모든 것이 정리되어진 디니의 방에서 엄마는 말한다
엄마의 엄마가 그랬듯이
엄마도 딸을 그렇게 키웠을 것이라고
잠시였던 딸의 방황과 불행이 엄마의 탓이 아닌
사랑은 그런 것이려니 하고
 
찾아 온 친구와 버드를 만나러 가는 날

저 나무 끝에 디니가 서 있고
이 나무 끝에 버드가 서 있건만
둘은 너무나 덤덤하게 재회를 한다
어쩌랴,
사랑은 젊은 날 우리를 휘몰아 치고 가는 소나기인걸

이탈리아 여자와 목장에서 살고 있는
먼지투성이의 버드를 보는 디니는
이젠 친구로만 바라볼 뿐이다

 

 

 

 

 

 

 

 

 

 

'마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방랑시인김삿갓  (0) 2013.09.14
염화미소  (0) 2013.09.14
자신의삶에만족을느껴라  (0) 2013.05.30
꿈이있어아름다운사람  (0) 2013.04.23
사찌코  (0) 2013.03.13